경제와 금융의 근본이자 심장인 금리, 어디까지 알아봤니? 이보다 쉬운 설명은 없다. 경제 문외한도 한번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그림 설명서
모두들 안녕하세요~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모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뽑아내는 인포그래픽 전문 블로거,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날씨는 갑자기 추워졌지만 연일 코스피 최고가를 경신 중인 우리나라는 갈수록 열기가 뜨거워지네요. APEC의 성공적인 마무리로 투자 열풍은 식을 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슬슬 버블 신호 오나요? ㅎㅎㅎ
자, 오늘 시간은 어떤 주제일까요? 뭐 말이 필요 없는 친구죠.
바로 '금리'입니다.
금리에 대한 정보는 차고 넘쳐서 설명이 필요할까 싶었지만, 통화량에 이어 가장 근본적으로 중요한 경제용어를 계속해서 다뤄보고 싶었습니다. 저 역시 이번 편을 준비하면서 금리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네요.
경제와 금융, 투자에 진심이라면 꼭 한 번은 알아둬야 할 이름. '금리'
완전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꼭 끝까지 읽고 삶에 유용한 지식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시작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p2CpH/dJMcabP2axj/AAAAAAAAAAAAAAAAAAAAAMBQBFjoopZ13se0aw7DkmSmMAEzB2GN-rCdsHls3yln/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eqYltlb14sN4keQj1NDV%2B52%2B4nI%3D)
1. 금리, 정확하게 어떤 의미일까?
☑
금리의 사전적 의미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애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입니다.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의미는 '이자율'이죠. 돈을 빌리거나 빌려주었을 때, 원금에 붙는 이자의 기준이 되는 비율을 금리라고 흔히 얘기합니다. 그렇습니다. 금리는 돈을 일종의 상품이라고 생각했을 때, 그걸 빌리면서 내는 대여료, 또는 사용료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의 입장에서 금리는 어떻게 다가올까요? 내가 가진 돈을 다른 곳에 썼다면 최소 얼마 이상은 벌었을 텐데 그 돈을 빌려주는 거니까 최소한 그 '최소 얼마 이상'은 되야겠죠? 바로 그 '최소 얼마 이상'이 빌려주는 입장에서의 금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2bv0A/dJMcag4SsHC/AAAAAAAAAAAAAAAAAAAAAN_uWWzLU21hJVPDxcS6pFzNfXB_bnTXIk7LeWQU5TRl/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uFp1Ozk6S59rqbFOF%2BAtsxjinHQ%3D)
2. 금리를 바라보는 2가지 시선
☑
금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더 자세히 생각해보면 2가지 입장으로 다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바로 돈을 빌려주는 사람의 입장과 빌리는 사람의 입장입니다.
먼저 돈을 빌려주는 사람의 입장에서 금리란 무엇일까요, 바로 '기회비용의 기준'이자 '최소 기대수익률'입니다.
쉬운 예로 '전세와 월세'를 들어 볼까요?
집주인 입장에서 월세는 어떤 기준으로 정하게 될까요? 바로 전세보증금을 은행에 예금했을 때 벌어들일 수 있는 이자수익이 기준이 됩니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보증금의 예금 이자율이 기회비용의 기준이자 최소 기대수익률이 되는 것이죠.
돈을 빌리는 사람의 입장에서 금리는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요?
빌리는 입장에서는 금리에 따라 자금조달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금조달 비용의 기준'이자 '손익분기점'이 됩니다.
연 이자율 5%로 1억을 대출했다면, 투자를 하던 사업을 하던 최소한 1년에 500만원 이상은 더 벌어야 손해가 나지 않는 것이죠.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bkKUIH/dJMcahW1aGX/AAAAAAAAAAAAAAAAAAAAAEOsEYreFgbiBpGsa19vVSCgIz8QHI_7SMAUqffWNBOC/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e%2BMfzR2D5LyTL5GxZoxuffYuvy8%3D)
3. 금리가 투자심리에 미치는 영향
☑
고전적인 이론으로 따져보면 금리와 투자심리와의 관계는 반비례합니다.
금리가 상승할수록 투자 심리는 얼어 붙고, 금리가 내려갈수록 투자 심리는 타오르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앞서 얘기했던 '기회비용'과 '자금조달비용' 때문입니다.
돈을 빌려주는 입장에선 금리가 상승하면 기회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를 할 이유가 없어집니다.
반대로 돈을 빌리는 입장에선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조달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손익분기점이 높아지고 그만큼 위험과 부담도 커지게 되므로 투자를 기피하게 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bDr7ls/dJMcafkA1Za/AAAAAAAAAAAAAAAAAAAAAIHptAVcwN2vYw43_SiPmCTVpCEL3bVuLVqySAZPgc84/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bjcG7wAq9bAwA72OhKQ3EQRmvEw%3D)
4. 기준금리, 경기를 조절하는 엑셀과 브레이크
☑
기준금리는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정합니다. 우리나라는 당연히 '한국은행'이,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RS, Federal Reserve System)'에서 기준금리를 정하죠.
각국 중앙은행은 나라의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금리를 낮추고, 경제가 과열, 과잉되었다고 판단하면 금리를 높이는 통화정책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앞서 금리와 투자심리의 상관관계에서 이야기 했듯이 금리가 내려가면 자금조달비용, 기회비용의 여유가 생겨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여 침체된 경기에 힘을 실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여기서 잠깐, '통화정책'이란?
정부가 통화시장(가계·기업·정부) 내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입니다.
통화정책의 목표는 바로 ‘물가 안정’으로, 물가상승률이 2%대로 유지되면 대체로 안정되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경기의 흐름을 자동차에 한 번 비유해 볼까요?
-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수 = 한국은행(중앙은행)
- 기준금리 = 자동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엑셀(금리인하)과 브레이크(금리인상)
- 시중금리 = 자동차가 달리는 속도
- 대한민국 국민 = 자동차 뒷자석에 탄 승객
승객에게 필요한 것은 목적지에 시간 맞춰 안전하게 도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과속을 해서도 안 되고, 거북이 운전을 고집해서도 안되겠죠?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Ocoht/dJMcajUP6gH/AAAAAAAAAAAAAAAAAAAAADqdXaOuyybyOoYUtlKrkD1R6X4Pg7cL7RCkfPsBDCqS/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qpg30CPy26RX5UdtwLOMZX2oSEc%3D)
5. 미국의 금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
사람들은 왜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의 한 마디 한 마디에 촉각을 곤두세울까요?
그만큼 미국의 기준금리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금리는 우리나라의 금리는 물론이고 환율, 통화량 나아가서 우리나라의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나 투자에 관심이 없는 나와는 먼 이야기일까요? 경제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남의 돈이 움직이면 결국 내 돈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저 멀리 미국의 기준금리 소식이 바로 내 밥상까지 영향을 미치는 세상 속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crLXFF/dJMcajmZ9VI/AAAAAAAAAAAAAAAAAAAAAMTVQIGq-JqN_AUyy4Arq_SwMM4oM-AMa-imTD2WMheQ/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GBk69zdF9I49jXi7aaiAHAxyIG0%3D)
6. 금리변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
경제에 '무조건'은 당연히 없습니다만, 주린이라면 금리 변화에 대처하는 일반적인 원칙은 알아둬야겠죠?
경제기사와 관련 뉴스를 꾸준히 보다보면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상할지, 인하할지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경제, 투자 관련 유튜브 채널에서 전문 유튜버나 학자들이 미리 미리 자신들의 견해를 밝히며 알려주죠.(물론 100% 맞지는 않습니다만..)
아래의 간단한 원칙은 기본적으로 숙지하고 계시면서 금리의 변화에 대비하여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https://blog.kakaocdn.net/dna/CQUsY/dJMcajN4vAh/AAAAAAAAAAAAAAAAAAAAAH-aILHoOb0aR8mS6kLKS-ees70yVXlitbM5-4V21a-0/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p7RXINKN4Myj%2B%2BVnfWmKCTWpmMM%3D)
※ 알려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과 금리에 대한 설명은 박정선 작가의 '부의 도약'과 토리텔러 작가의 '세상 친절한 경제상식'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더 궁금하신 것은 없으세요?(FAQ)
Q1.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뭔가요?
명목금리는 은행이나 시장에서 공시되는 ‘표면상의 금리’를 말합니다.
반면 실질금리는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실제 구매력 변화를 고려한 금리입니다. 예를 들어 명목금리가 5%인데 물가가 3% 오른다면, 실질금리는 약 2% 수준입니다. 즉, 실질금리는 ‘돈의 가치가 얼마나 늘었는가’를 팩트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Q2.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언제 발표하나요?
한국은행은 통상 6주 간격, 연 8회 기준으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결정 결과는 회의 당일 오전 9시 이후에 즉시 공개되며, 보도자료와 함께 통화정책방향이 공식 발표됩니다.
필요 시 급격한 시장 변동에는 '임시회의'를 통해 정기일정이 아니어도 긴급 조정할 수 있습니다.
Q3. 기준금리를 내리면 시중금리도 바로 내려가나요?
기준금리는 시중금리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점일 뿐, 시중금리가 즉시 같은 폭으로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은행의 대출·예금 금리는 금융기관의 자금 사정, 채권시장 금리, 시장의 기대 인플레이션 등 여러 요인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변동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인하 후 1~2개월 내에 시중금리가 점진적으로 조정되는 흐름이 많습니다.
Q4.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다른 건 왜 그런가요?
은행은 예금으로 자금을 조달해 대출로 운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영비용·위험보상·이익마진이 포함되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습니다.
두 금리의 차이를 ‘예대마진(預貸margin)’이라 하며, 은행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경제와 관련된 용어들을 간단히 알아 두는 것만으로 우리의 소중한 투자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수익을 위해 다른 글들도 바로 확인하세요!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통화량이란 무엇일까? M0부터 M2, LF, 그리고 L까지 통화량과 유동성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물가와 자산가격은 왜 변할까? 인플레이션, 금리, 투자 흐름까지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한눈에 이해하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그동안 궁금했던 YoY · QoQ · MoM · YTD를 딱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투자 유튜브, 경제 방송을 볼 때 헷갈리는 용어, 핵심 의미와 언제, 어떻게 쓰는 것인지 빠르고 간단하게 알려드리는 초간단 가이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한눈에 정리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PER(주가이익배수)의 의미, 계산법, 해석 방법과 한계점까지 주식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친절한 PER 가이드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보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ROE(자기자본이익률)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과 주의점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기업 수익성과 효율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 ROE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주린이 새싹반 여러분들
sominpapa1008.com
경제와 금융의 근본이자 심장인 금리, 어디까지 알아봤니? 이보다 쉬운 설명은 없다. 경제 문외한도 한번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그림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