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이란 무엇일까? M0부터 M2, LF, 그리고 L까지 통화량과 유동성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물가와 자산가격은 왜 변할까? 인플레이션, 금리, 투자 흐름까지 인포그래픽으로 한눈에 이해해보세요.
돈이 많아지면 시장은 어떻게 움직일까?
오늘도 안녕하세요~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모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뽑아내는 인포그래픽 전문 블로거,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돈’, 돈이 단순한 교환수단으로만 쓰이던 것은 이미 까마득한 옛날이야기죠. 이제 돈은 세상의 모든 경제, 전세계를 움직이는 거대한 바다가 되었습니다. 세계경제를 흔드는 이 바닷물이 들어오고 있는지, 아니면 빠지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알아봐야 할까요?
바로 통화량(Money Supply)을 살펴봐야 합니다.
다양한 경제 콘텐츠, 각종 뉴스를 보면 종종 “M2가 늘었다”, “유동성이 풍부해졌다” 와 같은 말이 우리 귀에 자주 들어옵니다.
앞서 다뤄봤던 PER, PBR, ROE와 같은 지표도 시장과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둬야 할 지표들이지만,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시장 전체의 통화량과 유동성을 확인하고 느낄 줄 아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오늘은 글로벌 통화량을 알려주는 'M1, M2'와 같은 통화량의 지표들과 이 지표들을 구분하는 기준인 '유동성'이라는 것에 대해서 아주 쉽고 가볍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덤으로 통화량과 물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 자산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까지 한 번에 알아보겠습니다.
투자를 시작하는 주린이라면 꼭 알아줘야 할 상식이니 차근차근 따라오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veKcM/dJMcaihhVXO/AAAAAAAAAAAAAAAAAAAAAHmyZBZn2_TrRzRLdGOYQfe_JzJI3vUwm8pBs9rtTggY/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k7ZJHVy0l41LayObtaGktfwniCY%3D)
1. 통화와 통화량이란 무엇일까?
통화(currency)는 글자 그대로 거래를 이어주는 수단, 화폐를 말합니다. 한마디로 '돈'을 말하죠.
그렇다면 통화량(Money Supply)은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작게는 한 나라, 크게는 세계의 경제 안에서 유통되고 있는 '돈의 총량'을 이야기 합니다. 쉽게 말해서 '시장 경제에 얼마나 많은 돈이 돌고 있는가'를 나타낸 양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b3m1RX/dJMcafERK1O/AAAAAAAAAAAAAAAAAAAAAEY6AAoK9Pp5Vn3pKI75W90dK3FKXFGaVXHmb2-bl63j/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wBs8XZ5ZO31fmgwXCR2o39%2F9IVw%3D)
2. 유동성(Liquidity) 정확히 이해하기
M1과 M2와 같은 통화량의 지표를 이해하려면 먼저 '유동성'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신문이나 뉴스에서 정말 많이 듣는 '유동성'은 바로 '얼마나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느냐'를 이야기합니다.
즉, 유동성이 높다는 말은 '현금화가 쉽다', 유동성이 낮다는 말은 '현금화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현금화가 어렵다는 말은 현금화를 하려면 일부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의 경우 만 55세까지 버티지 못하고 현금화를 해버리면 그동안 받았던 세제 혜택을 토해내야 하죠. 이런 경우를 유동성이 낮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당장 현금화가 어려운 자금이죠.
반대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보통예금통장, 수시입출금식통장의 경우 돈을 찾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죠? 이런 경우는 유동성이 높다고 이야기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cKNZR1/dJMcagjtjTn/AAAAAAAAAAAAAAAAAAAAABl5wPOmK-rlkGp7bvlPlCZ0Ds1l7nOcBLBdsg5D1kcE/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RcCz0WVd%2B5PWtLBhJFnLgN%2Fqb1s%3D)
3. 통화량의 지표들(M0부터 M2까지)
한 나라의 경제,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에 대해 구분하기 위해 M0, M1, M2와 같은 '통화량 지표'를 사용합니다.
M은 Money의 약자로 Money 뒤의 숫자가 높을수록 현금화가 어렵다, 유동성이 떨어진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이러한 구조만 알아도 지금 시중에 풀린 돈들이 당장 소비가 가능한 돈인지, 아니면 묶여 있는 돈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됩니다.
우리가 경제를 파악함에 있어 가장 눈여겨 봐야할 지표는 바로 'M2'입니다.
M2는 가계와 기업의 잠재적인 소비, 투자 여력을 의미합니다. M2가 급증했다는 것은 시장에 돈이 넘치며 곧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대기 자금이 많다는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bvEJUi/dJMcaajfSkw/AAAAAAAAAAAAAAAAAAAAAEGZf2FjayJzZUXMEkXRRj8jZVGpe5stJSBNtDbXND_H/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2BMJ2ydA9LqhtMOj61Cz0IBpeO1I%3D)
4. 협의유동성(LF)와 광의유동성(L)
'LF(협의유동성)'와 'L(광의유동성)'은 M2보다 유동성은 낮지만 경제 전반에 걸쳐 더 넓은 범위의 유동성까지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지표입니다.
M0에서 L로 갈수록 유동성은 낮아지지만 다루는 통화의 범위, 통화량의 규모는 점점 넓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M0'는 통화량에서 '현금'만을, 'L'은 '시중의 모든 통화량'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eBEwzG/dJMcacBnxoS/AAAAAAAAAAAAAAAAAAAAALgS6KFhAr5RTj1wPCDCcdpRjqCJwtXo5zHmjr41yQUK/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t4%2Ff01JODPzS1dm4RpkQO%2Bl39qg%3D)
5. 통화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물이 어느 정도 차있는 욕조(=시장경제)에 종이배(=자산)가 하나 떠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욕조에 물을 채우면(=통화량 증가) 종이배는 어떻게 될까요? 수위가 올라가니 종이배도 자연스럽게 수위에 따라 올라가게 됩니다.
이처럼 통화량의 증가가 부동산, 주식, 금과 같은 자산의 가격을 상승을 일으킨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유추해볼 수 있죠?
통화량의 증가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 화폐 가치 하락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 금리 하락 → 기업 투자 확대 (돈 빌리기가 쉬워짐)
- 자산 가격 상승 (부동산, 주식, 원자재 등)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OfHlP/dJMcabWL1kD/AAAAAAAAAAAAAAAAAAAAAFTWcsaHbTObqbgtApt90RZ03UqDB3OahpQ4NJKIKjy6/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ppQkH6Seoo%2BAcrNlEfOa85%2BJZFI%3D)
6. M2를 따라다니는 친구들
글로벌 M2(전세계 광의통화량)를 따라다니기로 유명한 친구들이 있습니다. 바로 금과 비트코인이죠.
이미 많이 알려진 썰이지만 혹시라도 모르실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자면, 바로 글로벌 M2 지수가 상승할 때 금이 먼저 상승하고 이후에 비트코인이 뒤 따른다는 것입니다.
물론 절대적인 법칙은 아니지만 그동안 꽤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왔죠. 통화량의 증가가 일으키는 일반적인 현상과도 결이 같기 때문에 저는 금이나 비트코인의 상승 신호로 M2를 자주 보는 편입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https://blog.kakaocdn.net/dna/PyO1G/dJMcadUADEF/AAAAAAAAAAAAAAAAAAAAAFyrsGjFu46xDENIaDc4RNtows4OfEzeLe1ax4Nol-A5/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H%2FnrlU5kiDmbjzuClYrR8uU4ti0%3D)
더 궁금하신 것은 없나요?(FAQ)
Q1. M2가 늘어나면 항상 물가가 오르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론 인플레이션 압력이 생기지만, 경기 침체기에는 가계와 기업이 소비나 투자를 늘리지 않고 현금을 쥐고 있으려는 경향(유동성 함정) 때문에, 통화량이 늘어도 물가가 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Q2. 통화량이 많아지면 주가가 오르나요?
A. 가능성은 높습니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시중의 자금이 풍부해져 주식 시장으로 투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금리가 통화량을 흡수하거나, 정책 방향이 투자를 억제할 경우 등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항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3. 통화량으로 투자 타이밍을 잡을 수 있나요?
A. 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M2와 금리의 흐름을 함께 보세요. M2가 늘고 금리가 낮아지면 '유동성이 넘쳐 위험자산으로 투자가 집중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M2 증가세가 둔화되고 금리가 오르면 '시장의 자금이 흡수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경제와 관련된 용어들을 간단히 알아 두는 것만으로
우리의 소중한 투자 무기가 될 수 있어요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한눈에 이해하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그동안 궁금했던 YoY · QoQ · MoM · YTD를 딱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투자 유튜브, 경제 방송을 볼 때 헷갈리는 용어, 핵심 의미와 언제, 어떻게 쓰는 것인지 빠르고 간단하게 알려드리는 초간단 가이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보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ROE(자기자본이익률)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과 주의점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기업 수익성과 효율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 ROE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주린이 새싹반 여러분들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한눈에 정리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PER(주가이익배수)의 의미, 계산법, 해석 방법과 한계점까지 주식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친절한 PER 가이드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
sominpapa1008.com
통화량이란 무엇일까? M0부터 M2, LF, 그리고 L까지 통화량과 유동성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물가와 자산가격은 왜 변할까? 인플레이션, 금리, 투자 흐름까지 인포그래픽으로 한눈에 이해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