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주린이의 경제사전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E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by The Infographer [인포그래퍼] 2025. 9. 3.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고 편리하게 전해드리는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주식투자를 시작한 이후로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그 이름.
주식방송, 주식 유튜브 채널에서는 너무 기본이라 설명도 안 하는 그 이름.
바로 주가이익배수, 혹은 주가수익비율 등으로 불리우는
PER(일명 '퍼')입니다.
 
 
저는 올해 주식을 처음 시작한 주린이로,
블로그와 주식투자, 코인투자를 병행하며
경제적 자유를 꿈 꾸고 있는 많은 이들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치투자에 흥미를 느끼고(물려서 못 팔아도 나는 가치투자다.....)
종목의 각 지표들을 탐구하다 보니 자연스레 PER, PBR 같은 지표들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PER은 주식 투자에 있어선 기본 중의 기본으로,
PER에 대해 검색하면 셀 수도 없이 많은 설명글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유튜브에서 이해가 쉽게 잘 설명해주는 영상도 정말 많죠.
 
 
하지만 이놈의 PER.. 필기를 해가면서 외우지 않아서 그런가..
왜 돌아서면 까먹고..분명히 알았는데 누가 물어보면 정확히 설명을 못 하고..
'주가이익배수', 주가순익비율' 이런 말 자체가 입에 잘 붙지 않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주린이인 제가, 
이제 막 주식을 시작한 왕초보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까먹지 않도록
주린이의 경제 용어 사전을 준비했습니다.

 
 

그 첫번째 타자는 역시나 PER, 바로 이 녀석입니다.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 목  차 

 


1. PER의 의미 (쉽게 외우기)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이에요.

 

Price (P) = 주가, 즉 1주당 가격
Earning (E) =: 순이익, 즉 1주당 순이익

따라서 PER은 “주가 ÷ 순이익” 이라는 아주 단순한 공식입니다.
쉽게 말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의 몇 배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가?”
“내가 투자한 돈으로 벌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얼마인가?”

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죠.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2.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글로 읽으시니 역시 좀 그렇죠?? 예시를 들어볼게요!

1억 원을 투자(=P)해서 치킨집을 열었고,

1년 순이익이 2천만 원(=E)이라면? 5년 동안 벌어야 원금을 회수할 수 있죠.

이 경우 PER은 5가 됩니다.

부동산으로 예를 들어 볼까요??
2억 4천만 원을 들여 오피스텔을 사고,

월세로 매달 100만 원(연 1,200만 원)을 받는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러면 원금을 회수하는 데 20년이 걸립니다. 따라서 PER은 20이 됩니다.

이렇게 치킨집이든, 오피스텔이든,

결국 투자금 대비 이익을 몇 년 만에 뽑을 수 있느냐PER의 핵심이에요.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3. 포인트 잡기

 

보통 PER이 낮으면 벌어들이는 이익(E)에 비해 주가(P)가 낮은 것이니

상대적으로 해당 기업이 저평가 되었다고들 설명하죠?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그 기업에 대하여 "사람들의 관심이 줄었다.

혹은 전망이 밝지 않다고 봤다" 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PER 높은 경우고평가,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즉,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PER이 높다고 무조건 나쁜 것도 아니라는 점!

해석은 항상 상황과 맥락에 맞게 해야 해요.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4. PER의 한계점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당연한 소리지만..

PER 하나만으로 기업 가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어요.

왜냐하면 주가는 단순히 실적만으로 움직이지 않고,

투자자들의 기대감, 실망감, 심리적인 요인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에요.

테마주나 급등주는 순이익이 그대로인데도 기대감으로 PER이 높아지고,
반대로 안정적인 회사는 PER이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5. PER 제대로 보는 방법

 

그럼 PER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음의 4가지를 꼭 기억하세요!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6. 연습문제로 완전히 이해하기

 

마지막으로 간단히 연습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쉬운 문제이지만 이해하는 데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답은 알려드리지 않습니다.😁)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주린이 인퍼의 왕초보를 위한 경제용어 사전,

PER로 첫 시작을 열어봤습니다.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자료를 만들면서 저도 PER에 대해 더 알게 된 것 같네요 :D

 

기관이나 전업투자자가 아니고서야.. 

용어를 하나씩 이해한다고 전문가를 따라잡을 수는 없겠죠.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것과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는 것은 천지차이입니다.

오늘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께 작은 무기가 되었기를 바라면서,

다음 시간은 기재부장관의 명발언으로 인해 화제가 된 바로 그것,

"PB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빛나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라면서,

저의 작은 공간에 방문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꼼수없는 진짜정보, THE 인포그래퍼"였습니다.

 

BYE!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PBR(주가순자산비율)도 궁금하진 않으신가요??  PBR 쉽게 이해하러 가기 ▼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B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BR 설명서(뜻, 의미, 이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두 번째 : PBR(주가순자산배수) 안녕하세요~:)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고 편리하게 전해드리는"인포그래퍼"(The

sominpapa1008.com

 

 

★ 20년 경력 도시행정가의 도시계획 & 부동산 이야기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도시공감 스토리, '도토리' 블로그를 소개합니다.

'도시공감 스토리' - 20년경력 도시행정가의 실전노트

 

'도시공감 스토리' - 20년경력 도시행정가의 실전노트

안녕하세요! 도시와 부동산 이야기를 쉽고 따뜻하게 풀어내는 ‘도토리’(도시공감스토리)입니다. 도시계획, 개발, 부동산… 복잡하고 막막한 문제들, 20년 경력 도시행정 전문가(행정사, 공인

dotoryn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