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세 번째 : ROE(자기자본이익률)
주린이 새싹반 여러분들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성장한 오늘을 보내고 계신가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고 편리하게 전해드리는,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주린이 풀잎반을 다니는 저 인포그래퍼가 알려드리는
'왕초보들을 위한 경제용어사전'
그 세번째 시간이 찾아왔네요😊
이번 주인공도 PER, PBR과 함께
저~~~~엉말 정말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그 이름도 유명한 'ROE'
ROE..ROE...매체나 방송에서 정말 많이 듣죠!?
아무리 주린이라고 해도 ROE 정도는 이미 알고 계신 분들이
정말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ROE가 아무리 쉬운 개념이라고 해도
방심해서는 안됩니다🤨
기업과 주식,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과 재무비율이
그러하듯 ROE 역시 여러가지 함정들이 있거든요.
ROE에 대해서 이미 알고 계신 분들이라면,
한 번 더 머릿속에 새겨보는 의미로!
ROE에 대해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라면,
간단하게 이해하고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게!
ROE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면서,
ROE를 볼 때 꼭 염두에 둬야 할 부분과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
시작합니다~!⭐
📚 목 차
1. ROE의 의미(쉽게 외우기)
ROE는 Return On Equity의 줄임말이예요.
말 그대로 Equity(자본) 위에 Return(순이익)이 있다.
즉, Return(당기순이익)을 Equity(자기자본)로 나눈다는 말입니다.
PER이나 PBR은 단순 나눗셈인 반면, ROE는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보통 'ROE가 몇 프로(%)다' 이렇게 얘기들을 많이 하죠??
ROE를 우리 말로 간단하게 정의 하면
"자본으로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가?"
주식시장으로 따지자면,
"내 투자금, 주주들이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이 얼마인가?"
라는 말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ROE는 바로 회사의 "이익 창출 능력" 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그러고보니, PER에서의 'E'는 순이익을, ROE에서의 'E'는 자기자본을 말해서 좀 헷갈리네요;;
PER과 ROE의 'E'는 다른 'E'다! 잊지 말자구요😊
2.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자, 그림으로 더욱 쉽게 이해해볼까요??
① 타짜의 주인공들을 예로 들어, 아귀가 고니에게 1억을 주었네요.
쉽게 아귀를 우리 주주로 생각하고, 주인공 고니를 회사라고 생각해 볼까요?
주주가 투자한 1억은 바로 자기자본(E)이, 고니가 벌어들인 2억은 수익(R)이 됩니다.
간단히 계산해보면..2 나누기 1 x 100=??
고니의 ROE는 무려 200%나 됩니다! 역시 타짜.....
② 예로 들기 참 좋은 치킨집으로 한 번 볼까요??
열심히 모은 돈 10억과 은행 대출 2억을 받아 치킨집을 차렸네요.
여기서 자기자본(E)은 역시나 열심히 모은 돈 10억이 되겠죠.
치킨집을 열심히 운영해서 1년 동안 1억 2천만원이나 벌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치킨집의 ROE는 1억2천만 원 / 10억 원 x 100 = 12%가 됩니다. 나쁘지 않네요!
3. ROE의 한계(1)
ROE도 역시나 ROE 하나만 가지고는 파악할 수 없는 다양한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가 더욱 조심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죠.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순이익(Return)의 진짜 속내, 착한 놈인지 나쁜 놈인지 알 수가 없다.
기업의 이익 창출능력을 나타내는 ROE의 함정 중 하나는 바로
'순이익의 증가가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순이익이 증가해 ROE는 높아졌는데...
이 순이익이 장사가 잘 돼서 오른 것인지,
반대로 회사가 어려워 자산을 매각해서 생긴 이익인지는 ROE만 봐서는 모른다는 것이죠.
ROE에서는 빚(부채)의 존재를 알 수가 없다.
ROE를 구성하는 이 'E',
'자본'은 부채가 반영되어 있지 않죠.(*자산 = 부채 + 자본)
자기자본에 비해 순이익(R)이 늘어 ROE가 높아졌어도,
빚을 얼마나 갖다 썼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반드시 기업의 부채율이나 ROA를 함께 봐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대출을 엄청 끼고 오피스텔을 구입한 주인이 매달 월세(R)를 받는다고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오피스텔 주인은 매달 받는 월세의 일부를 떼서 은행 대출 이자를 갚아야 겠죠.
4. ROE의 한계(2)
ROE는 업종의 구조적인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ROE는 결국,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의 비율,
자기자본(E)이 클 수록 ROE는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업종들이 있고 각 업종마다 필요한 자본의 크기는 천차만별입니다.
하지만 ROE는 이러한 각 업종들의 상대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ROE 만으로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알 수 없다.
A카페와 B카페는 순이익(R)이 동일합니다.
그런데 A카페는 자본이 1억 원, B카페는 자본이 4억 원이라면?
ROE는 당연히 A카페가 높겠죠. 그렇다면 A카페의 이익창출능력이 더 좋은 것이니,
앞으로 A카페가 B카페보다 더 잘 될까요?
만약 B카페가 사활을 걸고 3억 짜리 초고급 커피머신을 들여서 자본이 늘어난 것이라면,
과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카페는 어디일까요?
5. ROE, 현명하게 활용하기
위에서 ROE의 다양한 한계점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주식을 투자함에 있어,
ROE의 한계를 보완하고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일까요?
6. 연습문제로 이해력 높이기
마지막으로 간단히 연습문제를 풀어보며 배운 것을 되새겨 볼까요??
쉬운 문제이지만 이해하는 데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답은 역시나 알려드리지 않습니다.😁)
.
주린이 인퍼의 왕초보를 위한 경제용어 사전,
ROE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ROE는 '내가 투자한 돈을 얼마나 잘 굴리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지표예요.
우리도 이제 ROE에 대해
더 깊이있는 통찰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과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는 것은 천지차이다!
오늘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께 작은 무기가 되었기를 바라면서,
다음 시간에는 ROE와 함께 알아두면 시너지가 정말 좋은,
"RO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빛나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라면서,
저의 작은 공간에 방문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꼼수없는 진짜정보, THE 인포그래퍼"였습니다.
BYE!
PER(주가수익비율)에 대해 확실히 알아볼까요?? PER 쉽게 이해하러 가기 ▼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E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E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첫 번째 : PER(주가이익배수)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고 편리하게 전해드리는"인포그래퍼"(The I
sominpapa1008.com
PBR(주가순자산비율)도 궁금하진 않으신가요?? PBR 쉽게 이해하러 가기 ▼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B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BR 설명서(뜻 의미 이해
주식 초보가 가장 쉽게 알려주는 경제와 주식용어 사전, 그 두 번째 : PBR(주가순자산배수) 안녕하세요~:)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고 편리하게 전해드리는"인포그래퍼"(The
sominpapa1008.com
'[경제정보] 주린이의 경제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B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4) | 2025.09.08 |
---|---|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초보들을 위한 가장 쉬운 PER 설명서(뜻 의미 이해 한계 유의사항) (2)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