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R 뜻과 계산법 완벽 정리|PER로 평가 못하는 적자 기업도 분석 가능한 주가매출비율 지표. PER vs PSR 차이, 활용법, 한계까지 쉽게 이해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입니다.
꼼수없는 진짜 정보, 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간결하게 정리해드리는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요즘 감기가 정말 매섭네요...😷
주 2회 포스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감기에 걸려 며칠을 골골거리느라 포스팅을 못했습니다..
늦은 만큼, 더 열심히 달려 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 예고 드렸었죠?
바로 'PSR', '주가매출비율'에 대해 최대한 쉽고 단순하게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이전에 배웠던 PER(주가순이익비율), PEG(주가이익성장비율) 기억하시나요?
순이익과 순이익의 성장률을 주가와 비교하는 지표였습니다.
이 때 한 가지 유의사항으로 말씀드렸던 내용이, PER이나 PEG는 기업의 이익 발생, 순이익의 성장을 전제로 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이 줄어들거나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기업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기업의 이익과 성장을 가늠하는 나눗셈 계산에서 마이너스(-)값은 의미가 없겠죠?
PER과 PEG를 잘 배워봤지만, 정작 모든 기업이 매번 흑자를 기록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이럴 때 PER로는 기업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투자자는 어떤 기준으로 그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을까요?
바로 'PSR(주가매출비율)'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PSR 뜻과 계산법, 그리고 PER과의 차이, 활용 시 주의점까지 차근차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볼까요?
PSR의 핵심을 꿰뚫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끝까지 놓치지 말고 읽어 주세요!
초보 경제사전 일곱 번째, PSR편 시작합니다.
1. PSR이란? 쉽게 알아보기
PSR(Price to Sales Ratio), 우리말로 주가매출비율은
“주가가 기업의 매출액 대비 몇 배로 평가받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공식은 뻔하죠? 글자 그대로 나눗셈을 하면 됩니다.
PSR : ① P(시가총액) ÷ S(연간 매출액)
② P(주당가격) ÷ S(주당 매출액)
PER이 ‘순이익’을 기준으로 기업의 가치를 보는 지표라면,
PSR은 ‘매출’을 기준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순이익이 적자인 기업이라 해도 매출만 발생한다면 PSR은 계산이 가능합니다.
2.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기
오늘 그림 예시는 놀이공원으로 한 번 들어볼까요?
연간 매출액은 5만원 x 100만명 = 500억 원이므로,
PSR은 간단히 '2'가 나옵니다.
PER은 어떨까요? 전체 매출에서 비용 450억 원을 제외한 순이익은 50억 원이네요.
PER = 1,000억 ÷ 50억, 즉 원금회수하는데 20년이 걸리네요.
다음은 대형마트와 동네에 하나씩 있는 식자재마트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아무래도 덩치가 작다보니 식자재마트의 시가총액은 100억 원입니다.
연 매출은 50억 원이네요.
대형마트는 시가총액이 1,500억 원입니다. 연 매출은 300 억 원.
단순 매출액만 놓고 봤을 때는 역시 대형마트가 압도적으로 우세합니다.
하지만 PSR은 어떤가요?
매출 대비 가성비는 식자재마트가 훨씬 괜찮네요 :)
![[주린이의 경제사전] 007. PSR(주가매출비율) PER만 보지 말고 PCR까지! 주가현금흐름비율(쉽게 이해하는 계산법과 활용법)](https://blog.kakaocdn.net/dna/exkklx/btsQXx77ddt/AAAAAAAAAAAAAAAAAAAAAFR--VqGgGy5DGAaxfEwFZKGRcIiUvKrO1By9z40WQPD/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4ciKq0Vhuqs7W9RIjGeGdm%2FZNuQ%3D)
3. PSR 핵심 포인트
PSR을 정말 단순하게 해석하면 어떤 의미일까요?
👉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매출액에 대해 시장이 얼마나 값을 매기고 있는가?”
좀 난해한가요? 즉, PSR은 기업의 가격, 가치와 기업의 매출을 단순 비교한 '매출능력' 확인 도구입니다.
단순히 매출 능력만 가지고는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 부족합니다. 당연하죠!
하지만 동종 업종 안의 여러 기업을 비교할 때는 충분히 참고할 만한 지표가 됩니다.
1만원으로 천원을 버는 기업 VS 1만원으로 1만원을 버는 기업, 어느 곳이 더 가치가 있을까요?
아무리 순이익이 중요하다고 해도 전체 매출을 무시할 수는 없겠죠?
4. PSR의 한계: 초보자 유의사항
PSR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한계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지표를 보고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이 3가지만 유의한다면 함정에 빠질 확률은 현저히 떨어집니다.
5. PSR 현명하게 활용하기
기업의 매출능력을 확인하는 것은 어느 때 가장 효과적일까요?
PSR의 가장 큰 장점은 아직 이익을 내지 못하는 성장 초기 기업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벤처 기업이나 신기술 기업들은 사업 초기라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면서 적자를 보는 경우가 많죠.
이 경우 PER은 아예 계산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매출은 꾸준히 늘고 있을 수 있죠. 이때 PSR을 활용해 매출 성장성을 기준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6. 연습문제로 복습하기
오늘도 간단하게 연습문제로 복습하면서 마무리를 해 볼까요?
이번엔 특별히 객관식으로 문제를 준비해 봤습니다😄
잘 푸셨다면, 정답을 댓글로 남겨주시는 것은 어떨까요?
초보경제사전 #007. PSR편을 마치며
주린이 인퍼의 왕초보를 위한 경제용어 사전,
그 일곱 번째 시간, PSR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PER이 이익을 본다면, PSR은 매출을 보면서 성장주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물론 단독으로 보면 한계가 있지만,
PER, PBR, ROE, PEG, PCR과 함께 본다면기업을 훨씬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겠죠?
한 걸음 한 걸음, 무언가를 알아가고자 하는 작은 노력들이 모여 '투기'를 '투자'로 바꿉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것과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는 것은 천지차이다!
오늘 저의 포스팅이 여러분께 작은 무기가 되었기를 바라면서,
다음 시간에는 경제 지표, 금융, 기업 실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간 변화 추이 파악에 사용되는 'YO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빛나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라면서,
저의 작은 공간에 방문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꼼수없는 진짜정보, THE 인포그래퍼"였습니다. SEE YA!
📌 함께보면 좋은 글
개념만 알아 두어도 소중한 투자 무기가 될 수 있어요.
각 지표는 서로의 약점을 보완해줘요. 다른 용어도 꼭 알아가세요.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한눈에 정리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PER(주가이익배수)의 의미, 계산법, 해석 방법과 한계점까지 주식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친절한 PER 가이드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보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03. ROE(자기자본이익률) / ROE가 뭐야? 자기자본이익률 개념과 활용법 한눈에
ROE(자기자본이익률)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과 주의점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기업 수익성과 효율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 ROE 가이드를 확인해보세요. 주린이 새싹반 여러분들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5. PEG(주가이익성장비율) / PEG 지표 완전 정복: 성장성까지 반영한 투자 지표 P/E 분석법 총정리
[주린이의 경제사전] 005. PEG(주가이익성장비율) / PEG 지표 완전 정복: 성장성까지 반영한 투자 지
PEG(주가이익성장비율)의 개념, 계산법, 해석 방법과 주의점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PE만으로는 부족할 때, 성장성까지 고려한 PEG로 기업 분석력을 높여보세요. 주식은 초보지만 투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6. PCR(주가현금흐름비율) PER만 보지 말고 PCR까지! 주가현금흐름비율(쉽게 이해하는 계산법과 활용법)
[주린이의 경제사전] 006. PCR(주가현금흐름비율) PER만 보지 말고 PCR까지! 주가현금흐름비율(쉽게
복잡한 주식용어를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PCR(주가현금흐름배율) 뜻과 계산법을 주식 초보도 쉽게, PER과의 차이점부터 활용법까지 '인포그래픽'으로 단순하게 정리한 초보자 필독 가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린이를 위한 PBR 가이드: 주가순자산비율 개념과 활용법
[주린이의 경제사전] 002.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린이를 위한 PBR 가이드: 주가순자산비율 개념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의 의미, 계산법, 해석 방법과 한계점까지 주식 초보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PBR 기초 가이드로 투자 감각을 키워보세요 안녕하세요~:)실생활에 유용한 정
sominpapa1008.com
PSR 뜻과 계산법 완벽 정리|PER로 평가 못하는 적자 기업도 분석 가능한 주가매출비율 지표. PER vs PSR 차이, 활용법, 한계까지 쉽게 이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