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 시작하고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려면 자산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기초자산과 금융상품의 탄생과정. 그리고 투자의 본질은 무엇인지 꼭 확인하고 가세요.
다들 잘 지내셨나요? 유용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으로 재탄생 시키는 인포그래픽 전문 블로거,
'인포그래퍼(The Infographer)'입니다.
와... 요즘 환율 정말 장난 아니네요.. 요즘 약달러 기조라고 하는데 원화의 가치가 더 맥을 못 추고 있는것이 참..복잡합니다. 환율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아두고 싶으시다면 지난 '환율'편을 참고하여 주세요!
지난달부터 통화량과 금리, 환율까지 거시적 경제용어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은 바로 우리가 투자하는 '자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자산이 무엇인지 왜 알아야 하는가?
고작 니트 한 장을 살 때도 다른 곳에서 더 싸게 팔고 있는 것을 보면 속이 쓰릴 때가 있죠? 최저가를 찾아내지 못한 내 자신을 탓하기도 하고 판매자를 원망하기도 하죠. 하지만 몇 백, 몇 천, 몇 억이 오고가는 투자 앞에서는 너무나 쿨해질 때가 많습니다.
"앞으로 이게 뜬다"라는 말 한마디에 내 돈을 활활 태워버리죠.
투자를 제대로 시작하고 싶다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두 가지 질문을 던져봐야 합니다.
1. 내가 살 수 있는 자산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처음 사회인이 되어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나고 나면 흔히들 재테크란 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합니다. 예금이나 적금으로 사부작 사부작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죠. 그러나 '어느 주식이 500%가 올랐다더라', '어느 직원이 주식으로 대박이 터져 퇴사를 했더라' 등의 이야기라도 듣는 날이면, 예금이니 보험이니.. 너무 시시하고 인생이 바뀔 것 같지도 않게 느껴집니다.
그렇게 주식, 그것도 국제적으로 신흥국 자산으로 분류되어 있는 '국내 주식'에 뛰어들곤 하죠.
이건 마치 경차를 몰던 초보 운전자가 갑자기 포르쉐를 끌고 고속도로에 나가는 격입니다. 안전자산(예 ·적금)과 위험자산(주식, 코인) 사이에 무수히 많은 중위험, 중수익 자산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내가 고를 수 있는 무기가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 단계별로 안전하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2. 내가 산 자산이 어떤 성격을 갖고 있는가.
금융 상품의 이름은 너무나 복잡합니다. 뭐 간단히 채권, 펀드, ETF하면 알겠지만 '채권-재간접형 종류 C-e' 이라던지 '리츠-재간접형(A)' 뭐 이런 걸 보게 되면 그냥 머리를 비우게 됩니다. 결국 내용은 모른 채 차트나 수익률, 애널리스트 의견 등을 대강 보고 상품을 매수하게 되죠.
가장 큰 문제는 '가짜 분산투자'입니다. 비슷한 펀드 10개를 담아놓고 "계란을 여러 바구니에 담았다"며 안심하지만.. 사실 그건 한 바구니에 담은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어떤 놈은 비가 내릴 때 강하고, 어떤 놈은 맑을 때 강한지, 각 자산들의 '속성'을 알아야 진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복잡한 금융 용어는 잠시 접어두고 거대한 숲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이번 '자산'편에서는 투자를 시작하기에 앞서 내가 사려고 하는 자산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왜 이 것부터 알고 가야하는지를 아주아주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bCEY0C/dJMcacVORBg/AAAAAAAAAAAAAAAAAAAAAI1-irpzTQT70deGHWTRNUkoPmjhssAS61EqzOkyhGV0/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V79gEssdPw%2BKfKcC4DIgMb8G%2Fa4%3D)
1. 우리가 자산을 알아야 하는 이유
☑
제목과 같이 투자를 시작하기에 앞서 가장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은 '자산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알아야 하는지' 입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의 목적을 '높은 수익률(대박)'이라고 생각합니다. 네. 맞는 말이죠. 투자는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이므로 이는 당연한 말입니다. 하지만 투자의 진짜 핵심은 '리스크 관리'에 있습니다. 그리고 리스크 관리는 바로 '분산'에 있습니다. 모여 있으면 한 방에 다 죽게 되니 흩어지는 이치이죠.
그럼 분산,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짜야할까요? 뭘 알아야 짜지 않겠습니까 ㅎㅎㅎ '자산의 종류와 성격'부터 확실히 알아야 포트폴리오를 세팅할 수 있기에, 우리는 자산부터 알아가야 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cGeQ7J/dJMcaiuVb0D/AAAAAAAAAAAAAAAAAAAAACG0VJcymlXpFjXkl14ssBibRxCk4m9OfikfaG6tydqi/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dKapf6q35RruHlS3jaIoKiLKOIE%3D)
2. 자산의 정확한 의미와 분류
☑
자산(Asset)이라고 하면 뭔가 거창해 보이지만, 쉽게 말해 '돈이 되는 모든 것'을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주식, 채권, 부동산' 같은 원재료를 *기초자산*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자산운용사, 증권사 등이 이 자산들을 여러 재료를 섞어 먹기 좋게 만들어 진열해 놓은 것을 '금융상품'이라고 부르죠,
- 기초자산 : 주식, 채권, 상품(금, 원유, 농산물 등 원자재), 통화, 부동산 등
- 금융상품 : 기초자산을 버무려 새로운 형태의 상품으로 만든 것
★NOTICE
원래 금융상품은 한쪽에 금융자산을 발생시키면서, 다른 한쪽에는 금융부채를 일으키는 계약을 통칭합니다.
따라서 주식, 채권을 비롯해 일반적인 예적금 등 '기초자산'도 전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투자의 기본 대상이 되는 주식, 채권, 실물 등은 '기초자산'으로, 기초자산을 상품화한 것은 '금융상품'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cz0LGk/dJMb995RJYU/AAAAAAAAAAAAAAAAAAAAAC1lZ5MQxuwzU4oDpq8FNIlfZqydAqLBY9wfm5ReSsVA/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LR91o3y6ofw4HTo%2FY8VP392DKsw%3D)
3. 각 자산들의 성격과 수익구조
☑
자산들은 저마다 성격이 다릅니다. 주식은 "나한테 투자해, 수익 나눠줄게!"라고 하고, 채권은 "돈 빌려줘, 이자 줄게!"라고 하죠. 이렇게 자산의 기본적인 투자 콘셉트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산의 수익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잘 생각해 보면 결국 크게 2가지로 나눠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자본수익 (Capital Gain) : 쌀 때 사서 비싸게 파는 것 (=시세차익)
- 인컴수익 (Income Gain) : 가지고 있으면 꼬박꼬박 들어오는 돈 (이자, 배당, 월세)
저점을 판독하거나 상승 모멘텀을 읽어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는 자본수익을, 따박따박 들어오는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는 인컴수익에 집중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bvetcM/dJMcaaqajto/AAAAAAAAAAAAAAAAAAAAAOaK__pvEjfuWmTs1Knl3Un55DMaIHPLxKAZx-sT1EiT/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W7osvNr%2B3Y9DRixtk%2FCt%2Fm00alw%3D)
4. 자산을 성격에 따라 나눠보기
☑
기초자산들은 자산이 가진 속성(성격)에 따라 크게 다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① 안전자산 VS 위험자산
"경제위기에 얼마나 더 강한가, 얼마나 더 신뢰할 수 있는가"에 따라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으로 분류합니다.
- 안전자산 : 미국 국채, 금, 달러 등(세상이 무너지지 않는 한 망하지 않는 자산)
- 위험자산 : 주식, 햐이일드 채권, 신흥국 국공채, 이머징(신흥국) 통화, 코인 등
※ 단, 안전자산이라고 무조건 안전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유동성 자체가 말라버리면 안전자산도 곤두박질 칠 수 있습니다. '
② 전통자산 VS 대체자산
"예전부터 계속 존재해 왔던 자산이냐, 전에 없던 새로운 것이냐"에 따라 '전통자산'과 '대체자산'으로 분류합니다.
- 전통자산 : 채권과 주식
- 대체자산 : 실물자산(부동산, 비행기, 선박 등), 상품자산(금, 원유), 공매도/공매수(롱숏전략), 메자닌 투자(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기업레버리지인수(LBO) 등 주로 헤지펀드나 사모펀드에서 많이 하는 투자
※ 대체자산의 투자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따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③ 선진국자산 VS 신흥국자산
"*MSCI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선진국자산과 신흥국자산으로 분류합니다.
- 선진국자산 :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스위스. 호주, 네덜란드, 캐나다 등
- 신흥국자산 : 한국, 중국, 대만, 인도, 브라질, 남아공, 러시아, 멕시코 등
※ MSCI :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사가 발표하는 지수를 말하며 글로벌 지수, 지역별 지수, 국가별 지수 등 다양한 지수를 제시한다.(우리나라는 이 지수에서 신흥국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왜?!)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bEKBNz/dJMb99LyUol/AAAAAAAAAAAAAAAAAAAAADnhQ-yLiVNF2FLV7eI0aiRXaBAFAdiYTSTV5IziYUCq/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yIe7171XtT0%2BRx9Vjy3g6EDFLVQ%3D)
5. 기초자산이 금융상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
☑
기초자산이 금융상품으로 제작되는 원리는 간단합니다. '어떤 자산을,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포장하느냐'. 결국 자산과 금융상품도 우리가 먹고 입는 일반 제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무엇을? : 투자재료를 어떤 자산으로 할까? 채권? 주식? 부동산?
- 어떻게? : 선택한 재료를 어떻게 거래할까? 현물? 선물?
- 담는가? : 펀드로 담을까? ETF로 담을까?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c5l9CV/dJMb99LyUor/AAAAAAAAAAAAAAAAAAAAANn9tj0wTCLaFyYPB8RcursrvFi7z-yFj2_q_VgueT--/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za2zjHvfs4FxeN1DsY%2BgiwguW5M%3D)
6. 금융상품의 거래방식에 따른 성격
☑
이렇게 기초자산을 '어떻게 거래하는가', 거래 방식에 따라 다양한 금융상품과 파생상품들이 생겨납니다.
그렇다면 기초자산을 거래하는 각각의 거래방식, 선물, 옵션, 펀드와 같은 금융상품들의 기본적인 콘셉트은 이렇습니다.
- 선물: 물건은 나중에 받을 건데, 일단 지금 가격에 사둘게.
(배추 가격이 천원이면 족한데, 나중에 변동이 걱정되니 천원에 미리 결제할게) - 옵션: 내가 그 물건을 나중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싶어.
대신 지금 얼마(옵션 프리미엄)라도 미리 줄게. 만약 내가 이 권리를 포기하면 그 돈은 네가 가져도 돼. - 펀드: 전문가인 내가 여러 사람들의 돈을 모아 투자해줄게. 나는 이러이러한 컨셉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거야 대신 수수료만 좀 줘
- ETF: 이건 펀드이긴 한데, 주식처럼 니가 알아서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어. 지수가 오를 것 같으면 사고 내릴 것 같으면 팔아.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PUmJ3/dJMcaacDcOI/AAAAAAAAAAAAAAAAAAAAAA_DqA6lI2NtbGTvaTJ3KeKJxvw3OIesPnenYvussoEk/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2F8V8MZ57uTWbIyjkSv0I3xWRofw%3D)
7. 금융상품의 리스크 파악
☑
금융상품의 리스크는 결국 ‘무엇(기초자산)’을 ‘어떻게(거래방식)’ 사는지에 의해 정해집니다.
내가 구매한 투자상품의 총 리스크를 파악하려면 상품의 재료(기초자산) 자체가 가지고 있는 리스크와 조리방법(자산을 거래하는 방법)이 가진 리스크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죠.
- 내가 투자한 상품의 리스크 = 자산이 가진 리스크 x 거래방식이 가진 리스크
투자의 핵심은 '대박'이 아니라 '방어', 즉 '리스크 관리'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내가 고른 상품들 각각의 리스크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어야 내 투자 전략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b3660A/dJMcagcRgc2/AAAAAAAAAAAAAAAAAAAAAIsxy5tVOV-_c3XnNuVA9P12jFwYgpK2bKPOH77sk6J5/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pciF1uqSuLznu4bDyv6kKl%2BZwo0%3D)
8. 마무리 총정리(금융상품의 제작 프로세스)
☑
결국 우리가 사는 금융상품은 '자산을 상품화'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해야할 일은 '현명한 쇼핑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마트에서 물건을 고를 때, 원산지가 어디인지, 가격은 적당한지, 어느 회사 브랜드인지 꼼꼼하게 따져보듯이 금융상품을 고를 때도 똑같이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모든 것을 세세하게 파악하기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고 그 정도의 전문적인 정보와 지식은 부족하지만, 나의 소중한 돈이 걸린 문제이니 최소한의 고민도 없이 생각없이 구매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죠.
투자는 "무엇을, 어떻게, 누가, 어떤 목적과 위험을 가지고 만들어서 판매되고 있는가" 질문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6. 자산 / 자산의 종류와 특징 완전정리: 투자를 시작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산의 구조와 본질](https://blog.kakaocdn.net/dna/c7hhOy/dJMcafE00EP/AAAAAAAAAAAAAAAAAAAAACoJgW92Y5DJyVaoy1cZ9fdmMXAzZ_EJHh3JXS1uPkFq/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9ZSVlQJ0t7Zfvb4ydi0tpGaMtnQ%3D)
※ 알려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은 박정선 작가의 「 부의 도약 」을 읽고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FAQ] 더 궁금한 점은 없으세요?
Q1. 초보자가 가장 먼저 시작하기 좋은 상품은 무엇인가요?
A. 개별 주식보다는 ETF를 추천합니다. ETF는 여러 기업이나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가 있어 리스크를 낮출 수 있고 주식처럼 소액으로 쉽게 사고팔 수 있어 투자의 감각을 익히기에 좋습니다. 하지만 앞서 얘기한대로 ETF만 여러개 샀다고 이를 '분산투자'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진정한 분산투자는 리스크 관리를 통해 '자산'을 분산하는 데 있습니다.
Q2. 안전자산인 금이나 달러는 어제 사는 게 좋나요?
A. 이론적으론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거나 경제지표가 안 좋은 신호를 보일 때 혹은 금리 인하, 양적 완화 등의 정책 흐름이 예상될 때 사는 게 좋습니다. 시장이 어려울수록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은 빠지고 금과 같은 안전자산이 오르는 경향을 보이죠. 따라서 주식이나 펀드만 100% 투자하는 것보다 포트폴리오의 일부(예:10~20%)를 평소에 안전자산(금이나 달러)로 채워두는 것이 훌륭한 위기대응 전략이 됩니다.
Q3. 투자는 무서운데..그냥 예금만 하면 안 되나요?
A. 물론 예금은 원금이 보장되는 훌륭한 자산입니다. 하지만 '물가 상승'이라는 보이지 않는 도둑을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예금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단순 예금만으로는 내 돈의 실질적인 가치(구매력)가 떨어지는 것을 막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물가 상승으로부터 내 구매력을 지킬 수 잇는 방법은 물가 상승률을 이길 수 있는 투자를 병행하는 것, 또는 새로운 현금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Q4. 주식을 직접 사는 것과 펀드(ETF) 투자, 뭐가 더 괜찮을까요?
직접 투자는 내가 직접 장을 봐서 요리를 하는 것이고 간접 투자(펀드)는 요리사가 만든 밀키트를 사 먹는 것입니다. 본인의 요리 실력이 뛰어나고 시간도 많다면 직접 투자가 수익률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업이 바쁘고 아직 요리가 서툴다면, 수수료를 조금 내더라도 전문가나 시스템이 관리해주는 간접 투자가 훨씬 속 편하고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경제와 관련된 용어들을 간단히 알아 두는 것만으로 우리의 소중한 투자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수익을 위해 다른 글들도 바로 확인하세요!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
[주린이의 경제사전] 014. 금리 / 경제 초보도 한번에 이해하는 가장 쉬운 금리 설명서
경제와 금융의 근본이자 심장인 금리, 어디까지 알아봤니? 이보다 쉬운 설명은 없다. 경제 문외한도 한번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그림 설명서 모두들 안녕하세요~ 생활에 유용한 정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15. 환율 / 환율 1분 완성! 금리차부터 수출입까지 환율 변동 요인 5가지와 초보 투자법
[주린이의 경제사전] 015. 환율 / 환율 1분 완성! 금리차부터 수출입까지 환율 변동 요인 5가지와
환율은 내 월급을 어떻게 바꿀까? 원/달러 환율 상승/하락을 결정하는 금리, 무역, 원자재 등 5가지 핵심 요인 총정리. 수출입, 물가, 외화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함께, 외화 예금, 해외 주식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보인다.
[주린이의 경제사전] 013. 통화량 / 통화량 M1 M2 뜻 완벽 해설: '돈의 지도'를 읽으면 시장 흐름이
통화량이란 무엇일까? M0부터 M2, LF, 그리고 L까지 통화량과 유동성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물가와 자산가격은 왜 변할까? 인플레이션, 금리, 투자 흐름까지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한눈에 이해하기
[주린이의 경제사전] 012. 기간비교지표 / YoY, QoQ, MoM, YTD 뜻 완벽 정리|헷갈리는 기간비교 지표
그동안 궁금했던 YoY · QoQ · MoM · YTD를 딱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투자 유튜브, 경제 방송을 볼 때 헷갈리는 용어, 핵심 의미와 언제, 어떻게 쓰는 것인지 빠르고 간단하게 알려드리는 초간단 가이
sominpapa1008.com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한눈에 정리
[주린이의 경제사전] 001. PER(주가이익배수) / PER 쉽게 이해하기: 개념, 계산법, 해석, 한계점까지
PER(주가이익배수)의 의미, 계산법, 해석 방법과 한계점까지 주식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주린이를 위한 친절한 PER 가이드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인포그래
sominpapa1008.com
투자를 시작하고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려면 자산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기초자산과 금융상품의 탄생과정. 그리고 투자의 본질은 무엇인지 꼭 확인하고 가세요.